EV 충전 인프라 시스템
제품 개요
전기차를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해서는 전력공급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충전/방전 시스템, 요금 과금 시스템, 전력 계통 운영시스템, 배터리 교환소 등이 구성 됩니다.
아파트 또는 공용 시설의 주차장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을 값싸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한 전기요금은 세대 관리비 등에 합산해 청구하는 방식으로 운영 되며,
기본 충전기능뿐만 아니라 RFID 카드나 홈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요금정산 및 원격 모니터링, 충전 현황 등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종류
전기차는 사용 동력의 종류와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나뉩니다.
HEV(Hybrid Electric Vehicle)
기존의 엔진과 배터리 2가지 동력 사용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배터리의 충전을 외부에서 충전
출발과 주행 모드 배터리가 주역할, 배터리가 방전 되었을 때만 엔진이 보조 역할 EV(Electric Vehicle) PHEV의 배터리 능력을 증대시켜 엔진을 제거한 형태의 전기차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연료 전지가 있는 것
전기차 내부에는 배터리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라는 제어 장치가 있다.
배터리
주행거리 증대를 위한 고에너지 전력 밀도와 합리적인 충·방전 에너지 효율의 특성 지닌 니켈수소(NI-MH)전지 및 리튬폴리머의 전지 사용
BMS
주행가능 거리 예측, 완전충전, 과충전 방지, 셀간 균등 충전 알고리즘 관리, 배터리 셀 또는 모듈의 고장관리, 배터리 수명 예측을 통한 배터리 교체 알림 기능
전기차 충전기 구조
전기차는 사용 동력의 종류와 배터리의 종류에 따라 나뉩니다.
2. 설치 유형에 따른 분류
설치 사례
아파트 또는 공용 시설의 주차장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을 값싸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한 전기요금은 세대 관리비 등에 합산해 청구하는 방식으로 운영 되며,
기본 충전기능뿐만 아니라 RFID 카드나 홈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요금정산 및 원격 모니터링, 충전 현황 등의 정보를 손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출발과 주행 모드 배터리가 주역할, 배터리가 방전 되었을 때만 엔진이 보조 역할 EV(Electric Vehicle) PHEV의 배터리 능력을 증대시켜 엔진을 제거한 형태의 전기차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 전기에너지를 자체 생산하는 연료 전지가 있는 것
구분 | HEV | PHEV | EV | FCEV |
---|---|---|---|---|
사용동력 | 엔진 전기모터 | 엔진 전기모터 | 전기모터 | 전기모터 |
배터리타입 | 니켈 메탈 할라이드 | 리튬폴리머 | 리튬폴리머 | 연료전지 |
주행거리 | 100km 이상 | 100km 이상 | 130km 이상 | 500km 내외 |
최대속도 | 150km/h 이상 | 100km/h 이상 | 130km/h 이상 | 160km/h 이상 |
-
한전 AC전원을 DC 변환 또는 신재생에너지 DC전원을 DC/DC로 변환하여 자동차에 장착된
배터리에 필요전력을 충전하며, 정류기 및 DC/DC 컨버터가 외부 충전시스템에 분리되어 있어 충전속도가 빠릅니다. -
정류기와 DC/DC 컨버터가 자동차에 내장(On Board Charger)되어 전력변환과정이 발생하고 자동차는 구조적으로 소용량 변환만 가능하므로 충전 속도가 느립니다.


구분 | 급속충전기 | 완속 충전기 |
---|---|---|
공급용량 | 50kW | 3~7kW |
충전시간 | 15~30분 | 4~5시간 |
구분 | 벽부형 충전기 | 스탠드형 충전기 | 이동형 충전기 |
---|---|---|---|
용량 | 3~7kW | 3~7kW | 3kW(Max) |
충전시간 | 4~6시간 | 4~6시간 | 6~9시간 |
특징 |
|
|




-
전국 EV충전소 위치
-
전국 EV충전소 지역별 설치 수량
지역 수량 지역 수량 강원도 576 세종특별자치시 69 경기도 1,514 울산광역시 201 경상남도 572 인천광역시 332 경상북도 767 전라남도 576 광주광역시 370 전라북도 462 대구광역시 514 제주특별자치도 1,708 대전광역시 211 충청남도 437 부산광역시 321 충청북도 351 서울특별시 967 울릉도 25 전국 총 수량 9,973